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gradient descent optimization
- vscode sftp
- pytorch 이미지 확인
- 카카오 보석 쇼핑
- object detection
- augmentation 이후 이미지 확인
- 프로그래머스 42885번
- Kullback-Leibler Divergence
- 백준 1325번
- DeepLabv3+
- os 확인 명령어
- 프로그래머스 42883번
- 원격서버 로컬 동기화
- 프로그래머스 보석 쇼핑
- 프로그래머스 67257번
- 프로그래머스 67258번
- jupyter 셀 추가 단축키
- 가상환경 확인
- 프로그래머스 42839번
- 가상환경 제거
- Optimization algorithms
- 프로그래머스 72410번
- jupyter 명령어 모드 단축키
- 백준 효율적인 해킹
- 프로그래머스 67256번
- MMdetection
- 백준 3190번
- 프로그래머스 43164번
- zip 압축해제 명령어
- YOLO detection
- Today
- Total
목록계획 (4)
소소한 블로그
여기에서는 제가 지금 당장 단기적으로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에 대해 정리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저는 부스트캠프 AI Tech에 참여 중입니다. 벌써 7주차가 되었네요. 나름 기초 이론 지식이 있는 편이라고 생각했는데, 강의를 듣다 보면 모르는 내용들이 많이 등장하곤 합니다. 특히 Image Classfication부터 지금 배우고 있는 Panoptic Segmentation까지 CV쪽으로는 한번도 논문을 제대로 공부해본 적이 없다는 것을 몸소 체감하고 있습니다. 한 강의에 여러 논문이 등장하고 있는 형식이라, 하나하나 이해하고자 하면 정말 많은 시간이 들게 되는 것 같습니다. 저는 논문 읽는 속도가 빠르지 않아, 모든 논문을 읽고 싶다는 욕심과 강의 진도를 맞춰야 한다는 것 사이에서 큰 ..
저번주에 부스트캠프 코테를 봤습니다. 시험 하나 보고 나면 괜히 공부를 안하게 되더라고요. 그래서 구글 Tensorflow certificate 시험을 준비하기로 했습니다! 기간은 2주로 계획하고 있어요. 저는 사실 딥러닝 모델을 구현하는데에 있어서 아주 미숙하기 때문에, 이 시험을 통해 모델 구현할 때의 큰 뼈대를 기억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기간 내용 2021.07.05(월) ~ 2021.07.09(금) 'Google 공인! 텐서플로(TensorFlow) 개발자 자격증 취득' 완강 2021.07.12(월) ~ 2021.07.16(금) 강의 복습 및 암기 2021.07.18(일) Tensorflow certificate 시험 아마 이 기간동안에는 블로그 정리를 안할 듯 하네요. 가끔 알고리즘 ..
회사 내에서 팀을 옮긴 후 일이 너무 바빠 개인공부할 여력이 없었네요. (핑계일수도..ㅎㅎ) 이 길이 나와 맞는 길인지 충분히 고민 후에 휴직을 결정했습니다. 그래서 그동안 미처 신경 못썼던 블로그도 재개하고 이제부턴 github도 사용해보기로 했습니다! 원래는 개인 프로젝트를 위해 R-CNN계열에 대해 공부했는데요, 한 2주간은 커넥트 재단에서 진행하는 부스트캠프 코딩테스트를 준비할 예정입니다. 저의 블로그에도 따로 알고리즘에 대한 게시물을 업로드할 예정이에요! (기본 내용은 스킵하고 실전 풀이법에 대해서만요.) 당장 오늘은 DFS, BFS에 대해 정리해야겠네요.